교육정보

서미란 선생의 NEW SAT 고득점 비법 – Reading 영역

– PART 3 – Vocabulary

안녕하세요 동포 여러분. 2주만에 인사 드립니다.

늦었지만 Merry Christmas! 저는 크리스마스에 가족과 함께 즐거운 삼겹살 파티를 했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Vocabulary, 우리말로 어휘 문제입니다. 2400 SAT에 응시하셨던 수험생은 알겠지만, 전에는 어휘 문제가 비현실적으로 어려웠습니다. 더불어, 독해 능력을 측정하기 보다는 그 단어의 뜻을 아는지 모르는지를 평가하는 ‘한국적인’ 시험이었습니다.

예시를 한번 보여드리겠습니다.

혹시 (A)부터 (E)까지 하나라도 아는 단어가 있나요?

지금 대학에서 영어학을 전공하고 있지 않다면 아마 다 처음보는 단어일 것 입니다. 심지어 현재 영문학과에 재학 중인 제 친구들도 대부분 이 문제를 풀지 못합니다.

이렇게 Old SAT는 어휘력에 많은 비중을 두었습니다. 

이제NEW SAT의 어휘 문제를 보겠습니다.

Common은 비교적으로 쉬운 단어지요. 아마 이 단어를 몰라서 문제를 틀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시험이 쉬워진 것은 아닙니다.

NEW SAT 어휘 문제는 단순 암기를 요하는 어휘력이 아닌 문맥에서 단어의 뜻을 추론하고, 한 단어의 다양한 뜻을 추론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측정하도록 개정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독해력에 더 중심을 두기로 한 것입니다.

NEW SAT 어휘 문제는 2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지금 위에 보시는 문제가 1번 유형입니다. 문맥을 보고 단어 뜻을 추론하는 문제입니다.

전체 문장을 보시죠.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public knowledge should be authoritative, but there is not always common  agreement about what the public needs to know…”

NEW SAT는 굉장히 친절합니다. 이런 1번 유형의 문제가 나오면 늘 단어의 뜻을 추론할 수 있는 clue를 흘려줍니다.

앞 문장에서 public knowledge는 대체적으로generally accepted라고 나왔습니다. 하지만, 바로 뒤 문장을 보시면but there is not always 라는 절이 보입니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앞 문장과 뒷문장의 관계가 반대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대체적으로 공적인 사실이 권위가 있다고 믿지만, 사실 이 문제 대해 common agreement 가 있는 것은 아니다…”

Now we can find the answer! 14번 문제 common의 뜻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대체적으로 공적인 사실이 권위가 있다고 믿지만, 사실 이 문제 대해 공통적인 합의점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들어가면 괜찮겠지요?

그렇다면 ‘공통적인’ 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를 찾아볼까요? (A) numerous가 매력적으로 보이겠지만, numerous는 ‘수많은’이라는 뜻입니다. (C) widespread는 ‘널리 퍼진’ 이라는 뜻으로 generally accepted와 가장 가깝습니다.

답은 (C) widespread가 되겠습니다.

이 문제에서 clue는 generally accepted와 but there is not always였습니다. 접속사 but 덕분에 앞 문장과 뒤 문장이 반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generally accepted, 우리말로 ‘대중적인’ 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 덕분에 답을 고를 수 있었습니다.

이제 다음 유형 보시지요. 문장부터 드리고 문제 보여드리겠습니다.

“When I so pressingly urge a strict observance of all the laws, let me not be understood as saying there are no bad laws…”

이 문제가 2번 유형입니다.

단어 urge는 권하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이미 여러분도 알고 계시겠지요.

하지만 보고 또 봐도 hasten, stimulate, require, advocate 다 urge의 동의어인 것 같습니다.

이 유형은 어떻게 풀어야할까요?

사실 저도 얼마 전까지 이 문제를 완벽하게 해설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문제는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운이 좋으면 맞는 것이고, 운이 나쁘면 틀릴 수 밖에 없으니 너무 억울해 하지 말아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오랜 연구 결과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비법을 개발하였습니다. 바로 문장 만들기 입니다!

이 칼럼을 읽고 계신 여러분은 영어에 어느정도 노출이 되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단어의 뉘앙스를 알고 있습니다. 제가 저번에도 말했던 것처럼you guys are smarter than you think you are.

이렇게 모든 answer choice가 비슷해 보이는 헷갈리는 문제가 나오면 최대한 빨리 단어로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그러면 그 단어의 정확한 뜻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최대한 빨리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That’s the only way to tap into our subconscious!

제가 한 번 해보겠습니다.

일단 hasten….My mom hastened me to dress up since we were late for church!

어떤 일이 빨리 처리되어야 할 때, 그리고 살짝 강제성이 있네요.

다음, stimulate….My friends were stimulated by alcohol!

여러분은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절대로 술로 stimulate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Stimulate는 자극시키다 라는 뜻이 있네요.

다음, require…My boss required me to do a lot of work.

요구하다 라는 뜻이 강하네요. 이 단어 역시 강제성이 있네요.

마지막, advocate…I advocate the new policy!

옹호하다 라는 뜻이 있네요.

그럼 일단 hasten과 require은 뜻이 같음으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SAT에서 답은 하나 뿐 입니다.

그렇다면 stimulate 과 advocate 중에서 어느 것이 정답일까요?

자극하다 vs 옹호하다.

답은 D) advocate이 더 가깝습니다.

“내가 당신들에게 법을 지키라고 옹호할 때, 나는 악법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나…” 

다음 칼럼에서는Writing PART 1 영문 버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미리 Happy New Year!

궁금한 점이나 코멘트는 suhsuda@naver.com로 부탁드립니다.

(오늘 제가 사용한 자료는 https://collegereadiness.collegeboard.org에 접속하시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서미란 강사 – 외대부속외국어고등학교 졸,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졸
現 대치동 세한아카데미 SAT 대표강사
前 압구정 엠프렙어학원 SAT Reading 대표강사
前 대치동 PSU어학원 SAT Reading 대표강사
前 분당 바로에듀어학원 SAT 대표강사
前 대원국제중학교 영어 강사
前 수도공업고등학교 영어 강사
前 동덕여자고등학교 영어 강사

Print Friendly, PDF & Email

Leave a Reply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