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자녀들을 유치원에 보낼 준비 다 되셨나요?

여러분의 자녀들이 유치원을 시작한다는 것은 어린 아이들에게는 커다란 획일 점이 될 것입니다. 많은 어린이들이 부모님 품에서 떠나 처음으로 학교에 입학하게 되는 것에 나름 기대에 부풀고 또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 경험으로 보아도 어린 학생이 저희 학원에 등록할 때 몇 학년이 되느냐고 물으면 이번 가을부터 유치원에 들어간다는 말을 아주 크게 말하며 나름 으쓱(?) 하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 제 칼럼은 9월 개학을 앞두고 여러 면으로 자녀들이유치원을 잘 시작 할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를 하시는데 도움이 되는 글을 나누도록 해보겠습니다.

보통 부모님들은 유치원에 보내려면 우선 ABC 나 숫자를 먼저 잘 알아야한다고 생각하십니다. 하지만 미국 유치원에서는 공부 보다는 어린이 들이 학교에서 선생님 말을 잘 따르고 반 친구들과 어떻게 잘 소통하며 잘 어울리는지에 더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아이의 사회적 생활면

여러분의 어린 자녀들은 학교에서 어떻게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리며 공부하고 장난감도 서로 나누어 갖고 노는지 곧 배우게 될 것입니다. 학교에서는 혼자 배우는 게 아니고 함께 배우고 함께 놀고 함께 일하기 때문에 남들과 잘 어울려 놀 줄 아는 어린이들이 학교생활 적응을 제일 잘할 것입니다. 이미 프리 스쿨을 다녀본 어린이들은 이점에 대해 이미 잘 익숙되어져 있겠지만 혹, 이점이 아직 낯선 아이에게는 그룹이 어울리는 프로그램에 아이들을 보내어 남들과 잘 어울리는데 더욱 중점을 두시기 바랍니다. 요즘같이 여름에는 주위 교회에서 여름 성경 학교가 수시로 열리고 있습니다. 또 여름 프로그램으로 Safety town, 또는 도서관에서 있는 스토리 타임 등에 보내어 다른 아이들과 접촉하고 자연스럽게 어울리게 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자기 인식 끌어 올려주기

다른 어린이들과 잘 어울리는 점 외에 어린이들이 자신에 대해 잘 알게 해주는 것도 학교 가기 전에 꼭 필요한 점입니다. 어린이들이 자신의 이름을 잘 쓰고 스펠링을 알게 해주며, 나이, 주소 그리고 전화번호를 외우게 도와주십시오. 학교에서 선생님이 자기에게 이런 질문을 해도 당황치 않게 잘 준비 시켜두는 게 필요 합니다. 만일 전화번호나 주소 외우기가 힘들어한다면 어린이가 잘 아는 노래 음절에 연결하여 멜로디를 따라 외우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입니다.

아이의 생각 넓히기

어린이들에게 숫자나 알파벳을 일상생활을 통하여서 가르쳐 주어야할 시기입니다. 갑자기 책상에 앉혀놓고 공부 하자 하기 전에 우선 생활 속에서 익히게 하여 주는 것이 배움에 대한 즐거움을 갖게 해줄 수 있는 방법이었으면 합니다. 가령 장보고 와서 물건을 하나하나 꺼내며 함께 세워 보는 방법…냉장고 위에 알파벳을 붙여 놓고 어린이에게 하나씩 알려 주는 방법…그리고 알파벳을 순서대로 늘어놓게 한다든지 이미 알파벳을 깨친 아이라면 자기 이름을 냉장고에 나열 하게하는 방법도 좋은 연습이 될 것입니다. 또한 숫자를 세는 것도 집에 있는 창문을 모두 세워보게 한다든지 또는 가지고 있는 장난감 중에 7개만 가져와 보라고 하는 등의 방법으로 숫자가 생활 속에서 익혀지게 하면 좋은 학습이 되겠습니다. 또 유치원에서는 색깔을 말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집에서 눈에 띠는 색깔을 자주 얘기 해보시는 것도 학교 시작 전에 필요한 일중에 하나입니다.

단어 개념 알려주기

단어 차이를 깨우쳐 주는 것 중에 “same” “different” “more” “less” 등 반대의 뜻을 갖는 말들을 잘 사용할 줄 알게 일상 대화에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또 한 가지 Sesame Street 캐릭터 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 중에 하나인 “ 이중에 하나가 다른 것과 다른 것은 어떤 것이에요?” 하는데 그런 것들을 집에서 딸기를 그릇에 많이 넣어놓고 그중에 바나나 하나 를 넣어서 이것들 중에 다른 것을 하나 골라보라고 해보세요. 그리고 위치를 말하는 단어 “under” “ above” “beside’ and “through” 그리고 시간을 말하는 “before” “after” 등에 관한 개념을 잘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처음 시작하는 학교생활이 낯설지 않게 미리 집에서 부모님들이 조금씩 신경 써 주시면 어린이들의 학교생활이 즐겁고 배움의 길이 순탄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저의 전문 지식을 자녀들의 유치원 입학을 앞두신 부모님들께 알려드립니다.

끝으로 여러 부모님께 이미 잘 알려진 로버트 풀점의 글을 소개합니다.

“These are the things I learned (in Kindergarten): “내가 유치원에서 배운것들 “

1. Share everything – 무엇이든지 나누기

2. Play fair – 공평하게 놀기

3. Don’t hit people – 남을 때리지 않기

4. Put thngs back where you found them – 쓴 물건들을 제자리에 다시 돌려놓기

5. CLEAN UP YOUR OWN MESS – 내가 어지럽힌 것은 꼭 치워놓기

6. Don’t take things that aren’t yours – 내 것이 아닌 것은 갖지 않기

7. Say you’re SORRY when you HURT somebody.- 남을 다치게 했을 때 미안하다고 하기

8. Wash your hands before you eat – 밥 먹기 전에 손 씻기

9. Flush – 화장실 일보고 물 내리기

10. Warm cookies and cold milk are good for you – 따끈한 과자랑 찬 우유는 내게 좋은 것

11. Live a balanced life – learn some and drink some and draw some and paint some and sing and dance and play and work everyday some – 균형 잡힌 삶을 살기 – 좀 배우고, 마시고, 그리고, 페인트 하고 노래 부르고, 춤도 추고, 놀기도 하고 그리고 일도 좀 하는 삶을 살기

12. Take a nap every afternoon.- 오후엔 낮잠 자기

13. When you go out into the world, watch out for traffic, hold hands, and stick together. 밖에 나갈 땐 차가 오는지 확인하고 옆 사람의 손을 잡고 놓지 않기

14. Be aware of wonder. Remember the little seed in the Stryrofoam cup: The roots go down and the plant goes up and nobody really knows how or why, but we are all like that. – 경이로운 것을 주의하여 보기. 폼 컵에서 나는 작은 씨앗을 기억해보라 : 뿌리는 내려가고 줄기는 위로 올라가는 것에 대해 누가 왜 그런지 아는 사람이 있는가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도 다 그와 같은 것을.

15. Goldfish and hamster and white mice and even the little seed in the Styrofoam cup – they all die. So do we. –금붕어와 햄스터 그리고 하얀 쥐 거기다 폼 컵에 작은 씨앗 까지도 결국은 다 죽게 된다. 우리도 그와 마찬가지이다.

16. And then remember the Dick-and-Jane books and the first word you learned – the biggest word of all – LOOK.” – 마지막으로 딕-앤드- 제인 북을 기억하라 첫 번째의 말들을 배우게 해준 책 – 그러나 그중 가장 큰 단어는 – 보아라” 세상을….

― Robert Fulghum, All I Really Need to Know I Learned in Kinderg – 내가 배워야할 모든 것들은 유치원에서 배웠습니다. 저자 로버트 풀점

글쓴이 : 트로이 쿠몬 대표 권순희
Troy East Kumon Math & Reading Center
38921 Dequindre Rd.
Troy, Mich. 48083
248-457-0640 office
sunnieKwon@gmail.com

Print Friendly, PDF & Email

Leave a Reply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