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한방 산책 3] 어지럼증

1. 흔한 증상

이제 미시간에도 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시작되었다. 그 동안 움츠려 지내다가 날씨가 좋아지니 아무래도 밖에서 지내는 시간도 길어졌다. 그런데 밖에서 활동을 하다 보니 일어날 때나 걸을 때 어지러운 증상을 느끼게 되고 심하면 밖으로 나 다니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게도 된다. 이러한 어지러운 증상은 잠시 어지럽게 느껴지는 것만이 아닌 여러 형태의 어지러움이 있고 그 원인도 아주 다양하다.

2. 원인과 대책

(1)혈액부족 몸에 혈액의 량이 부족하여도 빈혈현상이 일어나 일어나면 현기증이 나고 눈앞이 캄캄해지기도 한다. 심하지 않은 경우는 Vitamin D나 Iron을 섭취하면 개선된다. 한방에서는 이런 경우 몸 전체의 혈액량이 아닌 심혈허증상으로 보고 심혈허증상이 있으면 ,어지럼증만이 아닌 가슴이 뛰거나, 건망증이 심해지고, 잠을 깊이 자지 못하고 쉽게 놀라게 된다. 한방적 치료로서는 심혈허가 온 원인을 찾아 부족한 삼장의 혈액을 보충해주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한약으로 여러 증상을 바로 잡아줄 수 있다.

(2)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 혈압이 정상보다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갑자기 일어나면 어지럽게 느껴진다. 평상시는 혈압에 문제가 없으나 갑자기 일어나면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현기증과 더불어 가슴이 뛰는 증상도 동시에 오는데 이런 증상이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심하다면 한의에서는 침과 약을 병행하여 치료한다.

(3) 혈액순환장애 몸에 혈액의 량은 부족하지 하지 않은데 교통사고나 심장기능이 약해져서 혈액 순환장애가 있거나 혈관 내벽이 Soft하지 않을 때 어지럽게 된다. 이럴 경우에는 마늘, 양파, 석류 등 피를 맑게 하는 식품이나 CaCao를 지속적으로 복용하여 혈관 내벽을 부드럽게 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4)고령화 증상 나이가 들게 되면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되어 자주 어지럽게 되는 것은 자연적인 현상이다. 그러므로 갑자기 일어나거나 움직이지 말고 항상 넘어 질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노년층사망의 제일가는 원인이 낙상이므로 화장실에는 현기증이 날 때를 대비한 손잡이나 의자를 준비해두도록 한다. 연세가 들어가면 전보다 고단백질의 섭취도 늘리고 맨손 체조나 집주변을 자주 걷도록 하여 기초체력을 단련하여야 현기증으로 인한 낙상을 방지 할 수 있다.

(5)목 관절 이상 교통사고나 넘어지는 등으로 목뼈가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목을 옆으로 ,또는 앞뒤로 움직일 때 현기증이 느껴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심치료만으로 목의 근육을 바로 잡아주면 현저하게 개선된다.

(6) 영양상태 밸런스가 깨진 경우 풍요한 미국생활에서는 제대로 먹지 못하여서 오는 영향불량상태는 있을 수 없으나 지나친 Diet로 균형이 깨진 영양섭취로 인해 어지럼증이 올수 있다.

(7)내이성 어지럼 감기, 과도한 충격, 스트레스, 한방에서는 몸 안에서 물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습의 문제가 생기면 귀 안쪽에 위치한 형평 고리관에 영향을 주어 어지럼증을 만든다고 보고 있다. 이런 경우 어지럼증의 특징은 일어날 때 어지러운 것이 아니라 누워있어도 어지럽고 사방이 빙빙 도는 듯 어지러워 제대로 걸을 수도 없게 된다. 또 하나의 특징은 어지러울 때 토하거나 구역질이 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한방에서는 몇 번의 침 치료만으로도 상당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원인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한약이 효과적이며 몸의 균형과 밸런스를 잡아주는데 좋다.

(8)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눈이 빙빙 돌며 아득해지면서 쓰러질 듯하며 어지러운 경우는 한방에서는 간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참 치료를 한다.

(9)기타 현기증이생기는 경우는 위에서 언급한 원인 외에도 뇌나 심장질환, 또는 복용약의 부작용등으로 도 올 수 있으므로 어지러운 상태가 쉽게 낫지를 않고 지속된다면 정밀검사를 받아 볼 것을 권한다.

3.유의사항

(1)어지럽거나 현기증이 느껴지면 앉거나 누워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갑자기 일어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2) 어지러울 때는 카페인이나 알코올이든 음료는 들지 않는다.

(3) 어지러우면서 심장의 이상증상이나 몸의 반쪽의 감각 이상 등 Stroke 증상이 느껴지면 움직이지 말고 즉시 병원에 연락한다. 증상이 심한 경우 절대 직접 운전하거나 앰브란스 아닌 일반차량으로 병원에 가서는 안 된다.

강준호 한의학 박사 


“Healing begins with your mind”
P:  248-462-9050
W:  www.kangsfamily.com

Print Friendly, PDF & Email

Leave a Reply

%d